스크립트에서 유틸리티로 변경되었습니다. 사용방법은 이전과 동일합니다.

파일을 압축 해제하여 주신 다음 256x96 크기 이하의 PNG 이미지를 pngtweak.exe 로 드래그해 주시면 Output 폴더에 최종 그림대화 이미지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미지 파일을 드래그한 이후 완료된 파일은 Output 폴더에서 볼 수 있습니다

CMD를 실행하여 pngtweak (이미지 파일 이름) 명령어로 결과물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복사하여 명령줄에서 실행 가능합니다

pngtweak.dat 파일을 만들기 위하여 마비노기_그림대화.exe 실행파일을 이용합니다.

인증ID, 이름 불러오기 버튼을 눌러 기존에 마비노기에서 그렸던 이미지를 선택하면 캐릭터의 닉네임과 그에 맞는 Authid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브캣 닉네임의 Authid는 245059716 입니다. 메모장에 아래와 같은 양식으로 입력합니다.

데브캣 245059716

캐릭터 닉네임에 따라 Authid는 각각 다릅니다. 위 파일을 pngtweak 폴더 내부 pngtweak.dat 파일로 저장해 주시면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더욱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pngtweak.dat 파일을 만드는 것이 아마도 이 유틸리티의 전부일 것입니다

pngtweak v0.1.0.20230617

마비노기_그림대화.exe
0.95MB
pngtweak.7z
0.44MB

반응형

오늘 마비노기 접속해서 보니 펫 탐험대라는 컨텐츠가 새로 생겼습니다. 전혀 생각지 못한 컨텐츠라서 한번 해보고 버리기라도 해야지 싶어서 던바튼에서 시작을 했는데, 저만 헤메는 건가요? 아니면 다른 분들도 헤메고 계시는 건가요? 이거 한번 해봐! 하고 툭 던져놓고, 10번하고 오면 보상! 하면서 설명도 없이 끝나버리네요.

 

사실 시작하는 부분은 퀘스트 일반 탭에 있었습니다. 그러면 퀘스트 일반탭에 있을 거라고 설명을 해주던지

 

오랜만에 켈라 베이스 캠프로 왔습니다. 무기상점 니커에게서 퀘스트를 시작할 수 있다고 하네요.

 

설명이 한 줄이라도 없으면 여기까지 헤메면서 오는 뉴비입니다

 

예실 : 네 관심 없습니다 어떻게 그걸 아시고 농장 손댄적도 없는데
데브켓 : 너희들이 버린 켈라 베이스 캠프처럼 네가 보내는 녀석들도 버린 놈들이겠지
데브켓 : 놀고있는 너의 펫을 이곳에 넣으면 우리가 굴려주겠다 하지만 잘할거라고 하지는 않았다
데브켓 : 거짓말은 안했습니다 제비는 박씨만 물고옵니다 큰걸 바라다니 당신은 욕심쟁이군요

 

그래서 속는 셈 치고 농장에 펫 탐험대 게시판을 붙였습니다.

가지고 있는 펫 중에서 세마리 찍어서 보내면 된다고 하네요.

 

펫이름이 너무 이쁜거 같습니다. 그렇지 않나요?

 

마비노기 시간으로 2일 후면 찾을 수 있다고 하는데 기대할 만한 컨텐츠는 아닌 것 같습니다. 아직 결과를 보지는 못했지만 쓰지않는 펫으로 뭔가 할 수 있다면, 가지고 오는 것들이 박씨보다 큰거면, 요즘 박씨는 아파트만하다면 다시 보내고 싶네요.

 

사실 공짜로 주는 펫이 가지고 싶었습니다

 

생쥐같은 귀요미 받아서 데리고 다니고 싶어요. 10일만 하고 끝내겠습니다!

반응형

 

 

마비노기 그림대화 컬러 유틸리티 v0.1.0.20230617

스크립트에서 유틸리티로 변경되었습니다. 사용방법은 이전과 동일합니다. 파일을 압축 해제하여 주신 다음 256x96 크기 이하의 PNG 이미지를 pngtweak.exe 로 드래그해 주시면 Output 폴더에 최종 그림

vanasis.tistory.com

새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사실 0.0.2를 만들었던 스크립트를 분실해서 새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마비노기 그림대화를 4색 컬러로 출력하기 위한 스크립트입니다.

파일을 압축 해제하여 주신 다음 256x96 크기 이하의 PNG 이미지를 pngtweak.exe 로 드래그해 주시면 Output 폴더에 최종 그림대화 이미지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미지 파일을 드래그한 이후 완료된 파일은 Output 폴더에서 볼 수 있습니다

 

CMD를 실행하여 pngtweak (이미지 파일 이름) 명령어로 결과물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복사하여 명령줄에서 실행 가능합니다

 

pngtweak.dat 파일을 만들기 위하여 마비노기_그림대화.exe 실행파일을 이용합니다.

인증ID, 이름 불러오기 버튼을 눌러 기존에 마비노기에서 그렸던 이미지를 선택하면 캐릭터의 닉네임과 그에 맞는 Authid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브캣 닉네임의 Authid는 245059716 입니다. 메모장에 아래와 같은 양식으로 입력합니다.

데브캣 245059716

캐릭터 닉네임에 따라 Authid는 각각 다릅니다. 위 파일을 pngtweak 폴더 내부 pngtweak.dat 파일로 저장해 주시면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더욱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pngtweak.dat 파일을 만드는 것이 아마도 이 스크립트의 전부일 것입니다

pngtweak v0.0.2beta.20191113

  • 한글 경로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였습니다
  • PNG파일 드래그 사용 도중 종료되는 오류가 수정되었습니다
  • 스크립트 환경이 UTF-8로 변경되었습니다

pngtweak.7z
2.99MB
마비노기_그림대화.exe
0.95MB

 

반응형

Windows의 메모장으로 저장된 텍스트 파일은 일반적으로 ANSI 인코딩으로 저장됩니다. Windows 환경 자체가 ANSI 인코딩으로 이루어져 있어 생기는 결과입니다. 영어는 CP1251, 한국어는 CP949, ANSI 인코딩이라는 집합 속 각기 다른 이름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EUC-KR이라고 알고 있는 한글 인코딩은 CP949의 하위 호환입니다.

 

하지만 이런 복잡한 환경은 편리하지 않습니다. 특정 상황에서 문장 속 다른 인코딩을 참조하는 문자가 혼용되어 있을 경우 문자열이 깨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ABC가나다'라는 문장은 ANSI CP1251을 먼저 참조합니다. 하지만 뒤에 붙은 '가나다' 문장은 CP949를 참조해야 정상적인 출력이 가능합니다. 결국 한글은 깨진 문자로 출력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일의 인코딩을 UTF-8로 변경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변경해야 파일 속 내용은 그대로인 채로 인코딩만 변경할 수 있을까요?

 

Windows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iconv

http://gnuwin32.sourceforge.net/packages/libiconv.htm

 

LibIconv for Windows

• Complete package, except sources Setup  969371 14 October 2004  e0217c09792beec74578516d9fff55ce

gnuwin32.sourceforge.net

 

libiconv-1.9.2-1-bin.zip
0.79MB

libiconv-1.9.2-1-bin.zip 파일을 압축 해제하여 /bin 폴더 안에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iconv 파일 옆에 있는 두 파일은 실행을 위하여 함께 있어야 합니다.

 

iconv -f CP949 -t UTF8 content.cp949.txt > content.utf8.txt

 

Windows iconv는 -output 옵션이 없기 때문에 파이프를 이용하여 처리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Usage: iconv [OPTION...] [-f ENCODING] [-t ENCODING] [INPUTFILE...]
or:    iconv -l
Converts text from one encoding to another encoding.
Options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format:
  -f ENCODING, --from-code=ENCODING
                              the encoding of the input
  -t ENCODING, --to-code=ENCODING
                              the encoding of the output

Options controlling conversion problems:
  -c                         discard unconvertible characters
  --unicode-subst=FORMATSTRING
                              substitution for unconvertible Unicode characters
  --byte-subst=FORMATSTRING
                              substitution for unconvertible bytes
  --widechar-subst=FORMATSTRING
                              substitution for unconvertible wide characters

Options controlling error output:
  -s, --silent           suppress error messages about conversion problems

Informative output:
  -l, --list                list the supported encodings
  --help                 display this help and exit
  --version            output version information and exit

 

UTF-8로 저장된 파일은 CMD에서 chcp 65001 명령어를 사용한 이후 정상적으로 처리 가능합니다.

 

chcp 65001
type content.utf8.txt

 

CMD의 chcp 기본값은 chcp 949입니다.

반응형

면책

아래 설명을 읽고 행동으로 이어지는 도중 발생한 손해 또는 손실, 혹은 특정 지역에서 불법적인 행위에 속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다른 이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습니다. 모든 행동은 행위자의 책임이며, 설명에 대한 최종 결과는 행위자가 접하는 이후의 활동이 성공적임을 보증 또는 보장할 수 없습니다. 갤럭시 S8 플러스 스마트폰의 커스텀 롬 플래시 작업은 Knox Warranty를 깨트리는 주원인이 되며 이것은 이후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이전의 상태로 복구할 수 없습니다. 행위자는 이 모든 상황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스마트폰을 쓰다 보면 항상 바닐라 상태로 쓰고 싶은 욕구가 듭니다. 삼성, 통신사에서 이것저것 덕지덕지 깔아놓은 앱들은 전혀 쓸모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안방주인처럼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영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순정 상태에서는 지우려 해도 지울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루팅을 한 이후 루트 모드에서 지워야 합니다. 이미 루트 모드로 부서진 스마트폰, 커스텀롬을 이용하여 더욱 이쁘게 써 보자!라는 생각으로 LineagsOS 홈페이지를 찾았습니다.

 

갤럭시 S8 플러스 G955N 은 LineagsOS 홈페이지에서 정식으로 지원해 주는 모델이 아닙니다. 하지만 불굴의 투지로 결국 LineageOS Unofficial 버전을 찾아냈습니다.

 

순정 상태의 스마트폰은 LineagsOS를 플래시하기 위하여 TWRP 리커버리가 필요합니다.

https://dl.twrp.me/dream2qlte/

 

Download TWRP for dream2qlte

Team Win strives to provide a quality product. However, it is your decision to install our software on your device. Team Win takes no responsibility for any damage that may occur from installing or using TWRP. We recommend downloading the latest version of

dl.twrp.me

twrp-3.3.1-0-dream2qlte.img.tar

 

https://dl.twrp.me/dream2qlte/twrp-3.3.1-0-dream2qlte.img.tar

 

Download twrp-3.6.2_9-0-dream2qlte.img.tar

Thank you for choosing TWRP. Please click the link below to start your download. Team Win strives to provide a quality product. However, it is your decision to install our software on your device. Team Win takes no responsibility for any damage that may oc

dl.twrp.me

 

TWRP tar 파일을 Odin 프로그램의 AP 탭에 로드하고 플래시 합니다. 이제 리커버리는 순정이 아닌 TWRP를 이용하게 됩니다.

 

리커버리로 부팅한 이후 TWRP에서 Lineags OS G955F 압축 파일을 플래시합니다. 리커버리 부팅 상태에서 USB를 컴퓨터에 연결한 상태라면 자유롭게 파일을 추가, 수정 또는 삭제가 가능합니다.

 

https://lineage.stricted.net/dream2lte

 

LineageOS Downloads

unofficial 17.1 lineage-17.1-20220515-UNOFFICIAL-dream2lte.zip sha256 649.42 MB 2022-05-15

lineage.stricted.net

 

스마트폰 루팅 작업을 위하여 Magisk를 플래시합니다. 가능하면 Stable 버전을 받아 플래시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https://github.com/topjohnwu/Magisk/releases

 

Releases · topjohnwu/Magisk

The Magic Mask for Android. Contribute to topjohnwu/Magisk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https://github.com/topjohnwu/Magisk/releases/download/v26.1/Magisk-v26.1.apk

 

Lineage OS 16 Unofficial 버전은 G955F를 기준으로 패키징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직후 스마트폰의 버전은 G955F로 변경되어 있습니다. Root Explorer를 이용하여 /system/build.prop 파일과 /system/vendor/build.prop 파일을 각각 수정하면 버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build.prop 상세

dream2lte 또는 dream2ltexx 는 모두 dream2lteks로 변경합니다.

G955F 부분은 G955N으로 변경합니다.

 

아래는 build.prop 파일의 일부입니다. (구 16 Unofficial 버전)

ro.build.description=dream2lteks-user 9 PPR1.180610.011 G955NOKR3DSI2 release-keys
ro.build.fingerprint=samsung/dream2lteks/dream2lteks:9/PPR1.180610.011/G955NOKR3DSI2:user/release-keys
ro.build.characteristics=phone
ro.lineage.device=dream2lteks
# Samsung Specific Properties
ro.build.PDA=G955NKSU3DSI2
ro.build.official.release=true
ro.build.2ndbrand=false
ro.config.rm_preload_enabled=1
ro.build.changelist=16534938
ro.product_ship=true
ro.hardware.chipname=exynos8895

/system/vendor/build.prop 파일도 동일한 내용으로 변경합니다.

두 폴더의 build.prop 파일 내용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부팅 직후 오류가 발생합니다.

 

/default.prop의 경우 boot.img를 수정하여 작업해야 하는 파일이기 때문에 요청과 업로드가 많아지면 작업할 예정입니다.

 

커스텀롬 플래시 이후 날아간 CSC를 어떻게 복구하는지에 대한 작업 진행 중입니다.

 

반응형

ibus 입력기를 버리고 nimf 입력기를 사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이번 입력기에 만족하면 계속 사용할 생각이었는데, 쓰고 있던 도중 클릭 이후 글자가 하나 사라집니다. 쓰던 글자가 따라오는 것도 아니고 그냥 사라져 버립니다. ibus 입력기처럼 터미널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hodong/nimf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nimf nimf-libhangul

 

nimf 입력기를 설치하기 위해서 터미널에 입력해 줍니다.

 

시도는 좋았지만 아마도 곧 fcitx 입력기로 넘어가게 될 것 같습니다. 아무튼 한글 출력에 이상 없으니 지금은 이 상태로 만족합니다.

 

스냅샷은 아래의 주소 중 하나에서 얻으실 수 있습니다.

 

git clone https://gitlab.com/nimf-i18n/nimf.git

https://gitlab.com/nimf-i18n/nimf/-/archive/master/nimf-master.tar.gz

 

P. S. nimf 입력기 개발자이신 hodong 님이 최근에 많이 힘들어하시면서 입력기 추천을 다른 분들께 하지 말라고 당부해 주셨는데요, 오픈소스가 무엇인지 다시 한번 더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P. S. 2 글자가 하나 사라지는 원인이 무엇인지 찾으려 했지만 다시 설치하니 사라져서...? 제가 뭘 한거죠?

반응형

이곳에서 처음으로 사용해 볼 속성은 flow-direction 입니다. 내부 flex 요소들을 어떻게, 어느 방향으로 정렬할지 결정합니다. flow-direction 요소가 지정되지 않을 경우 기본값은 row입니다.

<style>
.view-data{display:flex;}
.data-first{flex-direction:column;}
.data-second{flex-direction:row;}
.data-third{flex-direction:column-reverse;}
.data-fourth{flex-direction:row-reverse;}
</style>
<div class="content">
    <ul class="view-data data-first">
        <li>1</li>
        <li>2</li>
        <li>3</li>
        <li>4</li>
        <li>5</li>
    </ul>
    <hr />
    <ul class="view-data data-second">
        <li>1</li>
        <li>2</li>
        <li>3</li>
        <li>4</li>
        <li>5</li>
    </ul>
    <hr />
    <ul class="view-data data-third">
        <li>1</li>
        <li>2</li>
        <li>3</li>
        <li>4</li>
        <li>5</li>
    </ul>
    <hr />
    <ul class="view-data data-fourth">
        <li>1</li>
        <li>2</li>
        <li>3</li>
        <li>4</li>
        <li>5</li>
    </ul>
</div>

CSS가 적용되지 않는다면 모든 리스트는 순서에 변함없이 화면에 출력됩니다. flex-direction 을 사용하여 실제 작성된 컨텐츠의 순서와 다른 방향으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flex-direction 요소의 값으로 지정 가능한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column 내부 요소가 일반적인 Block 과 같이 수직 정렬됩니다.

• row 내부 요소가 수평 정렬됩니다.

column-reverse 내부 요소가 정반대로 수직 정렬됩니다.

• row-reverse 내부 요소가 정반대로 수평 정렬됩니다.

반응형

'HTML,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과 CSS로 사각형 만들기  (0) 2019.01.14

gnome 패키지 설치 도중에 잠깐 실수가 있었습니다. 어디서부터 일어난 일인지 알 수는 없지만 잠도 오지 않을 정도로 짜증나는 일은 틀림없습니다.

apt 패키지 설치가 되지 않아 apt –fix-broken install 로 문제 해결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일반적으로 apt 명령을 이용한다면 전부 해결됩니다.

nvidia 패키지를 고치려고 하니 패키지 의존 문제에 꼬여버려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능해졌습니다

sudo apt purge $(dpkg -l | awk ‘$2~/nvidia/ {print $2}’)

sudo apt autoremove
sudo reboot

그리고 재 부팅 이후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작업합니다.

sudo su
export LANG=C
for FILE in $(dpkg-divert –list | grep nvidia-340 | awk ‘{print $3}’); do dpkg-divert –remove $FILE; done
exit

sudo apt install ubuntu-drivers-common -y
sudo ubuntu-drivers autoinstall

이제 아침까지 편안하게 잘 수 있겠군요.

 

P. S. 블로그에서 글을 쓰기 시작하니 한글을 거꾸로 출력하는 버그를 찾았습니다. 영어는 아무 문제없이 출력하기에 한글 교체도 무리 없는 ibus 입력기를 굳이 바꿀 생각 없이 쓰고 있었습니다.

P. S. 2. 드라이버 선택을 생각없이 만지다가 꼬여버려 생긴 버그였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면 건들지 않는 것이 최고입니다.

P. S. 3. 한글이 거꾸로 입력되는 버그는 nimf 입력기를 이용하여 해결하였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사용 중 끝글자가 날아가 버리는 버그가 있습니다. nimf github는 어디죠?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mf 입력기 설치  (0) 2019.11.07
리눅스 터미널로 부팅 가능한 USB 만들기  (0) 2019.11.05

+ Recent posts